서해 5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해 5도는 북방한계선 인근에 위치한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연평도, 우도를 지칭하며,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따라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의 군사 통제 하에 있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해병대가 주둔하며, 북한과의 해상 경계선인 북방한계선(NLL) 설정 및 분쟁, 군사적 중요성을 지닌다. 1974년, 2010년의 북한 도발로 인한 인명 피해가 있었으며, 북한은 서해 5도를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한다.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남북 관계 개선을 모색하며, 섬에는 많은 교회와 성당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도 - 고군산군도
고군산군도는 전라북도 군산시 앞바다에 위치한 산처럼 모인 섬들로, 고려 시대 무역로 기항지이자 진포해전 기지였으며, 조선 시대 군산진 이전 후 현재 이름을 얻었고, 화산암체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알려져 있다. - 대한민국의 군도 - 조도면
조도면은 전라남도 진도군에 속하며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1899년 진도면에서 분리되어 면 행정이 시작되었으며, 상조도, 하조도, 가사도 등을 포함하여 현재 23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 황해의 섬 - 안면도
안면도는 태안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태안군에 속하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었고, 해수욕장과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게국지가 유명하다. - 황해의 섬 - 대부도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여러 국가를 거쳐 현재는 5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육지 및 주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갯벌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서해 5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해 5도 |
면적 | 74.47 km2 |
주요 섬 | 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 |
인구 기준 | 2022년 12월 31일 |
인구 | 8,564 |
위치 | 서해 |
나라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이름 | 인천광역시 |
행정 구역 | 옹진군강화군 |
2. 지리적 위치 및 역사
서해 5도는 북방한계선 인근에 위치한 섬들로,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제13항 ㄴ목에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의 군사통제 하에 둔다'고 명시되어 있다.[7][9] 우도를 제외한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는 황해도 장연군에, 연평도는 벽성군에 속해 있었다.
2. 1. 행정 구역 변천
1945년 9월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한 후, 황해도 옹진군이 경기도에 속하게 되면서 38선 남쪽에 위치한 서해 5도는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10]한국 전쟁 결과, 옹진군의 육지 지역인 옹진반도는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으나, 서해 5도는 섬 주민들과 해병대의 노력으로 군사분계선 이남에 남았다. 서해 5도에는 해병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격 등 유사시에는 섬 주민들에게도 화기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다.
3. 북방한계선(NLL)과 분쟁
1953년 한국 전쟁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 사령부에 의해 북방한계선(NLL)이 설정되면서, 1973년까지는 남북 간 해상 경계선으로 기능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3년부터 서해 5도 주변 수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NLL을 인정하지 않았고, 1999년에는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일방적으로 선포하여 서해 5도 인근 해역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었다.[11]
서해 5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남단 군사 기지인 해주가 연평도에서 육안으로 보이고, 선박의 움직임을 쉽게 추적할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이다.[3] 이러한 이유로 서해 5도 인근에서는 여러 차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였다.
최근 남북은 서해 5도 주변 해역에서의 긴장 완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어로 구역을 확대하고, 55년 만에 처음으로 섬 주변 야간 어로를 허용하는 등 관계 개선의 움직임이 있었다.[3]
3. 1. 북방한계선 설정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되면서 당일 오후 10시 교전선을 군사분계선(MDL)으로 정했다. 그러나 해상분계선에 관해서는 정전협정에 명확한 규정 없이 '연해의 섬 및 해면에 관한 통제권은 1950년 6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하되, 서해 5도는 UN군 사령관 관할 아래 둔다'는 규정을 두었다.[7]1953년 8월 30일, 마크 웨인 클라크 UN군 총사령관은 정전협정의 취지에 따라 남북간의 군사적 충돌을 억제할 목적으로 대한민국 서해 5도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도 사이 해상에 북방한계선(NLL)을 설정하였다.[4] 이 선은 1973년까지 별다른 마찰 없이 해상 경계선 기능을 했다.
그러나 1973년 10월과 11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측) 선박들이 여러 차례 NLL을 침범했다. 같은 해 12월 군사정전위원회에서 북측은 서해 5개 섬 주변 수역이 자신들의 관할이라고 주장하며, 이 수역을 항행하려면 사전 승인을 받으라고 요구했다.[11] 또한 북측은 제1연평해전 직후인 1999년 9월에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일방적으로 선포하였다.[3]
3. 2. 북한의 NLL 도발 및 분쟁
1973년 10월과 11월, 북측 선박들이 수십 차례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하였고, 같은 해 12월 군사정전위원회에서 북측은 서해 5도 주변수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관할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수역을 항행하려면 사전 승인을 받으라고 요구하였다. 북한은 제1연평해전 직후인 1999년 9월에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일방적으로 선포하였다.[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73년 서해 5도를 북한 영토로 간주하며 자국의 영해를 12해리로 주장했고,[4] 1999년에는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이라고 불리는 자국의 해상 경계선을 선포했는데, 이는 섬들을 간신히 제외하는 선이었다.[3]한국 전쟁 이후 주요 군사 충돌은 서해 5도 주변에서 발생했다. 1974년 2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은 대한민국 어선을 격침시켜 13명이 사망하고 유일한 생존자를 생포했으며, 같은 사건에서 14명의 승무원이 탑승한 다른 어선도 나포했다.[5]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함정이 백령도 인근에서 침몰하여 승무원 46명이 사망했으며, 국제 조사 결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어뢰가 함선을 침몰시킨 원인이라고 밝혔다. 2010년 11월 2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연평도에 약 170발의 포탄과 로켓을 발사하여 대한민국 국민 4명이 사망하고 19명이 부상당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이 군사 훈련을 수행하면서 자국의 영해에 포탄을 발사했다고 비난했는데, 이는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 민간인을 상대로 한 최초의 의도적인 공격이었다.[3]
4. 군사적 중요성
서해 5도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해상 경계선 중간에 위치해 있어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한국 전쟁 이후 이 섬들 주변에서 여러 차례 군사적 충돌이 발생했다.
4. 1. 북한의 위협
서해 5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경기만을 통해 남하하여 대한민국을 침공하는 것을 막는 1차 방어선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 공군의 남쪽 활동 범위를 제한해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이 안정적 기능을 유지하고 경기만 일대에서 조업하는 어민들이 평화롭게 생업을 도모할 수 있게 해주는 대한민국의 군사적 요충지이다.반면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입장에서는 이 지역이 첨단무기로 요새화된다면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는 물론 평양까지도 위협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11][12] 이 섬들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해상 경계선 중간에 위치해 있어 한국 전쟁 이후 주요 군사 충돌이 이 섬들 주변에서 발생했다. 1974년 2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은 대한민국 어선을 격침시켜 13명이 사망하고 유일한 생존자를 생포했으며, 같은 사건에서 14명의 승무원이 탑승한 다른 어선도 나포했다.[5]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함정이 백령도 인근에서 침몰하여 승무원 46명이 사망했는데, 국제 조사 결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어뢰가 함선을 침몰시킨 원인이라고 밝혔다. 2010년 11월 2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연평도에 약 170발의 포탄과 로켓을 발사하여 대한민국 국민 4명이 사망하고 19명이 부상당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이 군사 훈련을 수행하면서 자국의 영해에 포탄을 발사했다고 비난했는데, 이는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 민간인을 상대로 한 최초의 의도적인 공격이었다. 이로 인해 섬에는 약 40개의 민간인 대피소가 있다.[3]
이 섬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성가신 존재로 여겨지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남단 군사 기지인 해주가 연평도에서 육안으로 보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박의 움직임을 섬에서 쉽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군사적 충돌에도 불구하고, 남북은 최근 몇 년 동안 이 섬들을 둘러싸고 더 나은 관계를 구축했다. 북한과 대한민국의 정상이 채택한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은 허용 가능한 어로 구역을 확대하고 55년 만에 처음으로 섬 주변의 야간 어로를 허용했다.[3]
5. 남북 관계 및 평화 노력
서해 5도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의 해상 경계선 중간에 위치해 있다. 한국 전쟁 이후 주요 군사 충돌은 대부분 이 섬들 주변에서 발생했다. 1974년 2월 1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은 대한민국 어선을 격침시켜 13명이 사망하고 유일한 생존자를 생포했다. 같은 사건에서 그들은 또한 14명의 승무원이 탑승한 다른 어선도 나포했다.[5] 2010년 3월 26일, 대한민국 해군 함정이 백령도 인근에서 침몰하여 승무원 46명이 사망했다. 국제 조사 결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어뢰가 함선을 침몰시킨 원인이라고 밝혔다. 2010년 11월 23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연평도에 약 170발의 포탄과 로켓을 발사하여 대한민국 국민 4명이 사망하고 19명이 부상당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이 군사 훈련을 수행하면서 자국의 영해에 포탄을 발사했다고 비난했다. 이는 한국 전쟁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 민간인을 상대로 한 최초의 의도적인 공격이었다. 이로 인해 섬에는 약 40개의 민간인 대피소가 있다.[3]
이 섬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성가신 존재로 여겨지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남단 군사 기지인 해주가 연평도에서 육안으로 보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박의 움직임을 섬에서 쉽게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군사적 충돌에도 불구하고, 남북은 최근 몇 년 동안 이 섬들을 둘러싸고 더 나은 관계를 구축했다. 북한과 대한민국의 정상이 채택한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은 허용 가능한 어로 구역을 확대하고 55년 만에 처음으로 섬 주변의 야간 어로를 허용했다.[3]
6. 종교
서해 5도에는 많은 수의 교회와 성당이 있다. 백령도에는 약 5,700명의 인구에 13개의 교회가 있다. 인구의 약 75%가 종교를 가지고 있는데,[3] 이는 대한민국 본토의 64%에 비해 높은 수치이다.[6] 백령도는 또한 한국 최초의 가톨릭 사제인 김대건이 개척한 서해 선교 루트의 일부였다.[3]
참조
[1]
웹사이트
N. Korea conducting drills to occupy Five West Sea Islands
http://www.rjkoehler[...]
2013-11-18
[2]
웹사이트
South Korea deviated from previous rules of engagement in West Sea clash
http://www.hani.co.k[...]
[3]
논문
Five Islands of the West Sea
https://issuu.com/th[...]
2019
[4]
웹사이트
The Origins of the Northern Limit Line Dispute
https://www.wilsonce[...]
2023-05-04
[5]
웹사이트
348th Meeting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https://digitalarchi[...]
2023-05-04
[6]
웹사이트
6 facts about South Korea's growing Christian population
https://www.pewresea[...]
2023-05-04
[7]
간행물
경기도 강화군 서도면 말도 산1-96, 강화 임야조사부
http://theme.archive[...]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2018-01-12
[8]
뉴스
서해5도
https://news.v.daum.[...]
중앙일보
2010-12-24
[9]
문서
한국 전쟁 정전협정 첨부 지도
https://catalog.arch[...]
2017-08-08
[10]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 도직제
1945-11-03
[11]
뉴스
전략적 요충지 서해 5도 "더이상 안 당한다"
http://news.kbs.co.k[...]
KBS
2010-11-27
[12]
문서
백령도 위치 정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